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 조건, 혜택, 수령액 비교 분석

by 인포데이5411 2025. 5. 4.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한 대표적인 정부 지원 금융상품입니다. 각각 3년과 5년 만기로 설계된 이 상품들은 근로 소득을 기반으로 한 혜택을 제공하지만, 조건과 구조에서 차이가 있기에 비교해 보셔서 해당 상품으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상품의 조건, 혜택, 만기 시 수령액을 표로 비교하며, 어떤 상품이 나에게 맞는지 분석해보았습니다.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목차

1.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개요

2. 가입 조건 비교

3. 상품 내용 및 혜택 비교

4.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비교

5. 어떤 상품이 적합할까?

6. 현명한 선택

 

1.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개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3년 만기로 저소득층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습니다.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금융위원회와 서민금융진흥원이 운영하며, 5년 만기로 중장기 자산 형성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두 상품 모두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지만, 대상과 혜택 구조가 달라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2. 가입 조건 비교

2.1 나이 및 소득 요건

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나이 1990년 5월 1일 ~ 2006년 5월 31일 출생 (19~35세) 만 19세 ~ 34세 (병역복무 최대 6년 차감 가능)
개인 소득 월 50만 원 초과 ~ 220만 원 이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는 월 10만 원 이상)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2.2 가구 소득 및 기타 제한

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또는 100% 이하)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3인 가구 기준 약 1,302만 원)
기타 제한 중복 가입 제한, 청년도약계좌 동시 가입 가능 청년희망적금 중복 불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층에 더 유리하고, 청년도약계좌는 중간 소득층까지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죠.

 

3. 상품 내용 및 혜택 비교

3.1 납입 한도와 기간

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월 납입 한도 10만 원 ~ 50만 원 최대 70만 원
만기 기간 3년 (36개월) 5년 (60개월)

청년도약계좌는 납입 한도와 기간이 더 길어 큰 목돈 마련에 유리합니다.

3.2 지원 혜택 및 금리

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정부 지원 근로소득장려금: 차상위 이하 최대 1,080만 원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 360만 원 (월 10만 원) 정부기여금: 최대 월 3.3만 원 (연 198만 원)
금리 은행별 상이, 평균 4% 가정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0% = 5.5%
비과세 여부 없음 이자소득 비과세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 혜택과 높은 금리로 수익성이 더 뛰어납니다.

3.3 만기 시 수령액과 가입 년수

가입 년수에 따른 만기 수령액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최대 납입 기준, 금리 변동 없음 가정):

  • 청년내일저축계좌: 월 50만 원, 3년 만기, 금리 4%, 근로소득장려금 최대 기준.
    • 1년: 600만 원 (원금) + 48만 원 (이자) + 360만 원 (장려금) = 약 1,008만 원.
    • 2년: 1,200만 원 (원금) + 96만 원 (이자) + 720만 원 (장려금) = 약 2,016만 원.
    • 3년: 1,800만 원 (원금) + 144만 원 (이자) + 1,080만 원 (장려금) = 약 3,024만 원.
  • 청년도약계좌: 월 70만 원, 5년 만기, 금리 5.5%, 정부기여금 최대 기준.
    • 1년: 840만 원 (원금) + 46만 원 (이자) + 39.6만 원 (기여금) = 약 925.6만 원.
    • 2년: 1,680만 원 (원금) + 92만 원 (이자) + 79.2만 원 (기여금) = 약 1,851.2만 원.
    • 3년: 2,520만 원 (원금) + 138만 원 (이자) + 118.8만 원 (기여금) = 약 2,776.8만 원.
    • 4년: 3,360만 원 (원금) + 184만 원 (이자) + 158.4만 원 (기여금) = 약 3,702.4만 원.
    • 5년: 4,200만 원 (원금) + 520만 원 (이자) + 198만 원 (기여금) = 약 4,918만 원.

가입 년수청년내일저축계좌 (월 50만 원 기준)청년도약계좌 (월 70만 원 기준)

가입 년수 청년내일저축계좌 (월 50만 원 기준) 청년도약계좌 (월 70만 원 기준)
1년 1,008만 원 925.6만 원
2년 2,016만 원 1,851.2만 원
3년 3,024만 원 2,776.8만 원
4년 - 3,702.4만 원
5년 - 4,918만 원

청년도약계좌는 장기적으로 더 큰 금액을 모을 수 있습니다.

 

4.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비교

4.1 신청 절차

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자산형성포털 또는 주민센터, 교육 이수 필수 11개 취급은행 앱으로 비대면 신청, 2주 내 확인

4.2 중도 해지 및 유의사항

항목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

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6개월 미달 시 장려금 환수, 근로 유지 조건 3년 미만 해지 시 기여금·비과세 제한, 2년 이상 부분 인출 가능
유의사항 근로 유지 필수 장기 유지 필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 조건이 엄격하고, 청년도약계좌는 장기 유지 전략이 필요합니다.

 

5. 어떤 상품이 적합할까?

  • 저소득층 또는 단기 자산 형성 목표: 청년내일저축계좌가 3년 만기와 근로 인센티브로 적합합니다.
  • 중간 소득층 또는 장기 자산 목표: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와 높은 수익률, 비과세 혜택으로 유리합니다.

 

6. 현명한 선택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소득과 목표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 만기로 저소득층의 단기 자산 형성에 유리하고,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로 중장기 목표에 적합하죠. 본인의 소득, 근로 상황, 자산 목표를 고려해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 중 현명한 선택을 해보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년 총정리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년 총정리 (신청기간 5월2일~21일)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들이 미래를 위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 형성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에는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건이 완화되고

cashyspot.com

 

2025 청년도약계좌 완벽 분석: 가입 조건, 은행별 금리, 수익효과까지

 

2025 청년도약계좌 완벽 분석: 가입 조건, 은행별 금리, 수익효과까지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기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한 최고의 금융상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월 최대 70만 원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기여금, 비과세 혜택, 우대금리까지 더해져 최대 연 9.54%

cashyspot.com

 

 

※ 출처 : 복지로, 서민금융진흥원